국민연금 수령액이 얼마인지 궁금해하는 분들을 많을 것입니다.
매달 국민연금 명목으로 세금이 빠져나가고 있지만 대부분 사람들이 내가 받게될 국민연금 수령액이 얼마인지 모르고 있습니다.
오늘 국민연금 수령액 조회방법에 대해 알려드릴려고 합니다.
국민연금 수령액을 조회하시려면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목차
국민연금이란?
국민연금은 이들이 고령이나 장애, 사망 등으로 생계를 잃었을 때 정부가 생계 보장을 위해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금액을 말합니다.
연금이 있는 공무원이나 군인 등 특수근로자를 제외한 18~60세 이상 국민은 정부에 일정 금액을 지급해 국민연금을 받게 됩니다.
18세에서 60세까지의 모든 한국인들은 국민연금에 가입할 자격이 있습니다.
게다가 국민연금은 최소 10년, 길게는 30년 동안 매달 내야 합니다.
그래야 나중에 받을 수 있기 때문인데요 본인의 국민연금이 얼마인지 알고 싶다면 미리 예상액을 조회하면 됩니다.
그럼 국민연금 수령액 얼마인지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연금 수령액 조회방법
국민연금의 액수를 조회하기 전에 현재 얼마를 납부하고 있는지 조회한 뒤 예상 연금액을 알 수 있습니다.
먼저 NPS 홈페이지에 들어가셔서 자주 사용하는 민원서비스를 클릭하시면 돼요.
미리 준비한 공동인증서를 통해 ‘내 연금 알아보기’에 들어가 ‘가입/납부내역 조회’와 ‘예상 연금액 조회’를 클릭하면 찾을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수령액은 당신이 받는 월평균 급여에 비례해서 계산하기 때문에 당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복잡합니다.
당신의 연금액을 더 쉽게 알 수 있도록 계산기를 어떻게 계산하고 사용하는지 알려 드릴게요.
직접 계산하는 대신 국민연금 계산기를 사용하면 결과를 더 쉽게 볼 수 있어요.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들어가셔서 메인 화면에서 페이지 하단으로 내려가시면 ‘나의 연금조회’ 라는 메뉴가 있어요.
클릭 후 모의연금 계산 버튼을 누르면 기본정보, 소득정보, 신용목표 필드가 나타납니다.
이 세 가지 항목을 모두 작성한 후 결과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결과를 볼 수 있어요.
스스로 계산하는 게 번거롭지만, 이 과정을 알면 국민연금 계산기를 통해 국민연금 수령액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는 나이에 대해 알아볼게요.
과거 1952년생인 수급자는 60세 이상부터 받다가 65세 이상으로 바뀌어 출생연도에 따라 연금 지급이 달라집니다.
국민연금 수령나이
우리나라는 지속적으로 고령화가 진행 중인데요 그렇기에 국민연금에 관심을 갖고 노후를 준비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법이 바뀌면서 1952년 이전에 태어난 사람에게 60세부터 1969년부터 65세 이상까지
국민연금을 지급하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다만 1952년부터 1969년 사이에 태어난 사람들은
출생연도에 따라 국민연금을 받기 위한 연령이 좀 다르다고 하는데요
자세한 것은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